분리수거 대형폐기물 버리는 방법
분리수거는 일상이 된 지 오래됐습니다. 하지만 매번 하면서도 이건 어디에 넣어야 하지? 하며 헷갈릴 때가 생기는데요. 딱히 어느 칸에 넣기가 애매하다 싶으면 그냥 종량제봉투에 넣어서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실제로 분리수거가 불가한 재질인데도 분리수거로 구분되어 버려지는 경우도 많고 종량제에 버리면 되지 않는 재질이지만 종량제에 담겨 버려지는 것들이 생각보다 많아 주의해서 버려야 합니다.
예를 들어 코팅된 종이는 언뜻 종이류에 버려도 되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또 일회용 숟가락, 케이크이나 피자 고정 플라스틱은 너무 작아 따로 분리하지 않고 종량제봉투에 넣어 버려야 하고, 여러 재질이 섞여있는 칫솔도 일반쓰레기로 분류되어 플라스틱으로 분리수거하지 말고 종량제에 버려야 합니다.
이렇게 생각보다 많은 재질과 품목을 담아내야 하는 쓰레기 종량제봉투 종류는 단독주택,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상가 및 소규모 사업장에서 이용되는 가정용과 골목길 청소 등에 이용되는 공공용 봉투가 있습니다. 가정용 종량제봉투 종류 3ℓ, 5ℓ, 10ℓ, 15ℓ, 20ℓ, 30ℓ, 40ℓ, 50ℓ, 60ℓ, 75ℓ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너무 작거나 너무 큰 용량보다는 10~30리터까지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분리수거 대형폐기물 버리는 방법 - 종량제 봉투
쓰레기 종량제는 깨끗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1995년부터 실시한 제도입니다. 본인이 버린 쓰레기의 양에 따라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면서 스스로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품의 분리배출 비율도 늘리고자 시작되었는데, 실제로 종량제봉투 종류들이 활용되기 전인 1994년 1인당 1.33kg이던 쓰레기 배출량이 2018년에는 1인당 1.06kg으로 줄었다고 하니 제도 시행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봉투에는 재활용이 어려운 타는 쓰레기를 넣어줘야 하기 때문에 소각이 어려운 습기가 많은 종류들은 넣지 않아야 합니다.
분리수거 대형폐기물 버리는 방법 - 유리, 도자기, 금속
유리나 도자기, 금속류, PVC파이프, 화분, 페인트 통 등은 타지 않는 쓰레기를 버리는 용도인 불연성 특수 규격 봉투에 버려야 하는데 지역마다 판매처가 다르기 때문에 각 동의 주민센터 또는 행정복지센터에서 확인 후 처리하시면 되겠습니다.
분리수거 대형폐기물 버리는 방법 -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봉투 종류가 아닌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되기 위해서는 사료로 재활용됨을 감안해서 동물들이 먹을 수 있는 종류를 넣어서 배출해 줘야 하는데, 딱딱한 껍질이나 과일의 씨, 닭이나 생선의 뼈, 티백, 한약재 등은 넣지 말아야 합니다. 또 함께 딸려 들어가기 쉬운 비닐봉지나 나무젓가락, 이쑤시개를 꼭 들어가지 않도록 신경 써서 버려주셔야 합니다.
분리수거 대형폐기물 버리는 방법 - 대형폐기물
크기가 큰 대형쓰레기는 폐기물을 미리 신고하고 신고필증 스티커를 붙여서 지정된 장소에 두거나 대형폐기물 수거전문 업체의 도움을 받으면 좋습니다. 각 지역구마다 담당하고 있는 업체가 있으니 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후 처리하시기 바랍니다.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폰 데이터 쉐어링 방법 1회선으로 2대 사용하기 (0) | 2023.02.02 |
---|---|
전세사기 유형 및 예방법 꼭 확인해야 하는 사항들 (0) | 2023.01.31 |
주민등록증 신분증 재발급 방법 (0) | 2023.01.26 |
외장하드 추천 구매 기준 정리해봐요 (0) | 2023.01.25 |
우회전 신호등 어기면 범칙금 벌점 부과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