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꿀팁 / / 2023. 2. 6. 14:40

안과 시력검사표 누가 만들었을까요?

반응형

안과 시력검사표 누가 만들었을까요?

 

간단한 신체검사를 할 때나 건강검진을 받을 때 시력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시력은 모든 활동에 기본이 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큰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디 안과나 병원이나 모두 하얀 배경에 검정 글씨가 들어간 검사판을 사용하고 있는데 과연 이 검사판은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신체검사를 받을 때, 건강검진을 하면서, 운전면허를 따려고 할 때 등등 꼭 안경을 쓰지 않아도 누구나 시력검사표, 시력검사를 할 때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자 각종 시력 보조 도구 개발과 안과 치료 발전의 시초가 된 시력검사표는 언제부터, 누가 어떻게 개발하여 사용하게 된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과 시력검사표 - 스넬렌 차트


시력검사표는 1843년 독일의 안과의사 하인리히 퀴흘러에 의해 처음 발명되었습니다. 퀴흘러는 시력검사 표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검사자가 외울 필요 없는 읽기 차트를 만들었습니다. 이후 1854년 오스트리아 안과의사 에두아르 예거가 퀴흘러 차트를 개량하여 시력검사표가 본격적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1862년 네덜란드 안과의사 허먼 스넬렌이 현대 영어권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 최초의 분수값 시력 차트인 스넬렌 차트를 공개하며 표준화된 시력검사의 필요성을 사람들이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안과 시력검사표 - 란돌트 고리 (Landolt Ring)


마침내 1909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열린 국제안과학회에서 시력검사표의 국제 표준이 정립됐습니다. 1888년 프랑스 안과의사 에드먼드 란돌트가 도입한 란돌트 고리(Landolt Ring) 시력표는 상하좌우 4면 혹은 대각선까지 8면 중 한쪽 면이 뚫려있는 고리 형태를 사용합니다. 전 세계 공통 언어가 없기도 했고 문맹이나 글을 모르는 어린아이들에게 시력검사표를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어 어느 방향이 뚫려있는지 알려주는 방식으로 어린이나 문맹자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안과 시력검사표 - ETDRS 차트


1982년 만들어진 ETDRS 차트는 임상 연구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릭 페리스는 LogMAR 차트 레이아웃을 선택하여  즉 당뇨망막병증의 초기 치료법을 위한 표준화된 방식의 시력 측정 방식을 구축했습니다.


안과 시력검사표 - 한국의 시력검사표 / 한천석 시력표, 진용한 시력표


1951년 한천석 박사가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한글과 소수점 시표를 사용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명된 시력검사표인 한천석 시력표를 개발했습니다. 그러나 1994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시력표 기준에 변화가 생기고, 1997년 안과의사 진용한 박사가 개발한 진용한 시력표로 변경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진용한 시력표는 기존 5m의 검사 거리를 4m로 바꿨으며, 시표 간의 간격도 모두 일정하게 배치했습니다. 이 검사를 통해 감독 능력을 측정하였고, 시력 단위는 0.1에서 2.0까지로 변경됐습니다. 간혹 2.0도 너무 잘 보인다며 그 이상은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지 궁금증을 가지시는 분들이 계신데 검사표에 2.0 이상의 시력이 없는 이유는 시력검사의 목표가 일상생활 영위가 가능한 시력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시력을 교정하기 위함이 목적이라 2.0 이상으로는 측정하는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마이너스(-)로 측정된다고 해서 마이너스 시력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근시안 표기법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정상시력은 1.0을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공인 시력표에 따라 정해진 검사 거리에 서서 한쪽 눈을 가린 후 검사표에 있는 글씨나 그림을 가리킨 것을 보고 보이는 대로 읽게 됩니다. 안경 등으로 시력을 교정한 경우에는 교정시력으로 측정합니다. 시표의 선명도나 검사 시 주변 환경에 따라, 혹은 그날 컨디션에 따라 시력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시력검사표를 단순히 읽으면서 하는 시력검사는 정확도가 다소 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시력 검사표를 통해 시력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급작스럽게 시력이 떨어지고 안구 통증 등을 느낀다면 전문의 검진을 통한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